비교민속학회에서는 하와이대학 한국학 연구센터에서
2017년 11월 27(월)일부터 12월 1(금)일까지
“Korean culture week in Hawaii” 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.
한국의 민속과 전통복식문화를 전달한 이번 행사에서는
「민속으로 본 한국 문화의 정체성」
(Identity of Korean Culture as Folk Cultural Heritage)을 주제로
하와이 대학 한국학연구소가 주최하고
비교민속학회가 주관하여,
The OUEL Workshop of CKS in HIM이
11월 29(수)일 - 11월 30(목)일 양일 간 개최되었습니다.
각 대학 교수님들과 교수님들의 추천을 받아 심사를 거쳐 선발된 학생들의 빌표 주제는 다음과 같았습니다.
소 황 옥 - 비교민속학회 회장. 중앙대학교 교수
"한복에서 찾아보는 한국문화의 유형"
(Korean Culture through the exploration of Hanbok, korean traditional costum.)
나 경 수 - 전남대학교 교수
“명절 대표 음식의 주술적 성격과 기능”
(Magical Meaning and Function of Representative foods of Korean Traditional Holidays)
왕 혜 원 - 중앙대학교 패션예술 박사 수료
“한국과 중국의 복식문화 비교”
(The comparison study of Korean and Chinesetraditional costume culture)
에밀리 소울 - 한국학대학원(석사과정)
“?은혜를 모르는 호랑이? 설화의 동화화”
("The Unmannerly Tiger": From folk tale to fairy tale)
오 세미나 -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(박사수료)
“전주폐백음식의 전승과 문화적 의미”
(Transmission of Pyebaek Ritual Food in Jeon-ju and Its Cultural Meaning)
정 솔 미 -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수료생
“한국 설화에 나타난 '귀신의 육신화'와 그 의미”
(The Corporeality ofGhosts in Korean Folktales and its Significance)
조 소 현-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생 박사과정, Sky Earth Acadmey (교사)
“21세기 현대사회에서의 한국 민요의 위치와 역할”
(Folksong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of South Korea)
강 석 민 - 안동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
“무당굿놀이로 본 한국인의 집단심성”
(Korean Mentality as seen through 'Mudanggutnori'
조 나 영 -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석사과정
전통수공예 전승현황으로 살펴본 여성장인
(Traditional craftsmanship and gender issue in Korea)
박 명 - 전남대 대학원 국어교육과 석사과정
“한중 견우직녀형 설화의 비교 연구”
(A Comparative Study of the GyeonWoo-GIKnyeo folktale in Korea and China)
| 27th(Mon) | 28th(Tues) | 29th(Weds) | 30th(Thurs) | 1st(Fri) |
Session Ⅰ | 학술세미나 「민속으로 본 한국 문화의 정체성」 (Identity of Korean Culture as Folk Cultural Heritage) | ||||
| | 9:00~10:20 소황옥 (중앙대 교수) 10:30~12:00 나경수(전남대 교수) 12:00~01:00 점심 식사 오 후 01:00~01:50 오세미나 02:00~02:50 강석민 03:00~03:50 조소현 04:00~04:50 박 명 | 09:00~09:50 정솔미 10:00~10:50 왕혜원 11:00~11:50 조나영 12:00~01:00 점심식사 오 후 01:00~01:50 에밀리소울 | |